해당 글은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를 요약한 글입니다.

2장 서버- CPU


CPU는 연산을 대량으로 빠르게 처리하는 장치이다. 사람으로 말하면 두뇌에 해당한다.

CPU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각각의 가격차이가 상당하므로 어느것을 선택할지 어려운 경우도 많다.

여기서는 CPU의 구조를 파악하고 적합한 CPU 선택 기준에 관해 알아보자



성능과 발열, 소비 전력


CPU는 연산 능력이 높으면 높을수록 고성능 CPU로 분류된다.

이전에는 동작 주파수를 올려서 연산능력을 올렸는데, 일반적으로 CPU의 연산 능력이 높을수록 발열과 소비전력도 커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CPU는 성능을 높이면서도 발열과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진화해왔다.


최근에는 동작 주파수를 어느 정도 수준으로 억제하는 대신, 멀티코어나 멀티스레드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하나의 CPU로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연산 개수를 늘려 연산 능력의 향상을 꾀하게 되었다. 


CPU 용어


용어

의미 

소켓 수

CPU의 개수 

코어 수

CPU의 주요 계산 부분, 복수의 코어가 있는 것을 '멀티코어'라고 한다 

스레드 수

하나의 코어에서 처리할 수 있는 수 (하이퍼스레딩 기능이 있으면 코어 수가 배가 된다) 

동작 주파수

1초당 클럭 수. 동적 주파수가 높을 수록 처리 속도가 빨라지지만, 전력 효율이 나빠지고 발열도 증가한다. 

캐시

CPU와 메인 메모리 사이에 캐시 메모리라는 빠른 속도의 메모리가 있다

자주 접근하는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에 저장해서, 상대적으로 느린 메인 메모리로의 접근을 줄여 CPU의 처리성능을 높인다 

하이퍼스레딩

하나의 코어로 두 개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기술 (인텔 CPU에서 사용하는 용어) 

터보부스터 기술

CPU의 속도를 자동으로 기준 클럭보다 빠르게 동작시키는 기능

전혀 일을 하지 않는 코어가 있을 때, 일을 하고 있는 코어를 클럭 업시키는 기술

(인텔 CPU에서 사용하는 용어) 


+) 1소켓에 2코어, 하이퍼스레딩이 있을 때 운영체제에서는 4CPU로 보인다.



해당 글은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를 요약한 글입니다.

2장 서버- 서버 선정


IT서비스의 인프라를 구축할 때 무수히 많은 선택지 중에서 적절한 서버를 선택하는 것은 꽤 어려운 작업이다.

서버의 선정 요령은 가능한 선택지를 줄인 다음 핵심만 추려서 음미하는 것이다.



서버의 조건

서버의 사양을 결정할 때 아래와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항목

 선택지 

CPU 

주파수, 개수(소켓 수), 코어 수, 캐시 용량, 가상화 등 

메모리

용량, 전송 속도, 매수 등 

디스크

용량, 회전속도, 하드디스크 또는 SSD 등 

RAID

RAID 1/5/6/10/50/60 등 

NIC

2포트, 4포트, 8포트 등 

PSU

총 와트 수, 비이중화, 이중화 

보증기간

1년, 3년, 5년 등 

지원 수준

4시간 온사이트, 평일익영업일(평일 영업일 중 (신청한) 다음 날 지원, 24시간, 365일 지원 등 

확장성

메모리 소켓 수, PCI 슬롯 수, 디스크 탑재 수 등 

물리적인 사이즈

1U, 2U, 4U 등 

무게

경량, 초중량 등 




서버 사양 결정 방법


서버의 사양을 셜정하는 방법에는 세 가지 사고 방식이 있다.

  1. 실제 환경을 시험적으로 구축해 측정 결과를 보고 판단한다
    --> 중요 시스템일 경우 택! 하지만 노력과 시간이 다수 필요하다

  2. 임시로 설정한 서버 사양의 기기를 현장에 투입하여, 실제 하드웨어 자원의 이용 상황을 측정한 다음, 서버와 서버의 부품을 늘리거나 줄인다
    --> 온라인 게임처럼 실제 사용해보지 않아 액세스 양이 판명되지 않을 경우에 선택한다
    --> 이런 경우 기기에 여유가 있으면 넉넉하게 투입하고, 나중에 적정 규모로 사양을 조정한다
    --> 보유 기기 대수가 여유가 없는 경우, 업체에 상담하면 규모가 정해질 때까지 임시로 대여해 주기도 한다.

  3. 소거법으로 사양을 좁혀간다
    --> 어느정도 서비스의 성질이 정해져 있을 경우에 택하면 좋은 방식이다.
    --> 예를 들어 웹서버인 경우 메모리 이외의 하드웨어 리소스는 그다지 소비되지 않으므로,
    --> 메모리만 넉넉하게 설치하고 나머지는 최소한의 서비스 사양으로 선택할 수 있다




스케일 아웃과 스케일 업


서버의 수용량을 늘리는 접근 방식으로 스케일 아웃스케일 업이 있다.


스케일 아웃은 성능이 부족해 지면, 서버의 수를 늘려 수용량을 늘리는 방법이다.

--> 예를 들어 부하 분산이 쉬운 웹 서버의 경우, 가격이 싼 장비로 구성하고 성능이 부족해지면 서버의 수를 더 늘려간다.


스케일 업은 성능이 부족해지면 메모리 증설 등 부품을 추가/교환하거나 상위 기종으로 교체해 서버 성능을 높이는 방법이다.

--> 예를 들어 부하 분산이 어려운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1세트만 준비하고, 성능이 부족해지만 더 고가의 기종으로 교체하는 식으로 대응한다.






해당 글은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를 정리한 글입니다.

2장 서버- 서버의 종류




서버의 형태로 구분 : 랙마운트형과 타워형 서버의 차이



1. 랙 마운트 형 서버


랙 마운트 형 서버란?


- 랙안에 들어가는 서버이다 


랙이란? 

-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비들을 넣어두는 철체 프레임이다. 데이터센터나 서버 룸과 같이 다수의 서버/네트워크 장비들을 두는 곳에서 사용한다

- 자세한 설명 : http://(https://namu.wiki/w/%EB%9E%99%EB%A7%88%EC%9A%B4%ED%8A%B8

랙을 왜 사용할까?

-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비들을 구성할 때, 작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장비들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랙의 규격 

- 랙의 표준 크기(높이)는 19인치(48.26cm)이다. 

- 랙에 탑재되는 장비의 높이는 1U, 2U로 표기하는데 유닛이라고 부른다. 1U의 크기는 1.75인치(약 4.45cm)이다

- 엔트리 서버는 1U 사이즈가 많지만, 미들레인지 서버 이상은 필요한 부품이 많아 2U 이상이 많다.


2. 타워형 서버

타워형 서버란 사내서버룸에 설치되거나 사무실 또는 점포 등에 설치되는 서버를 의미한다. (일반 PC와 비슷하게 생겼다)

사무실이나 점포처럼 사람이 생활하는 공간에 타워형 서버를 설치할 때는, 사무실 설치용으로 개발된 '저소음 서버'를 준비할 수도 있다.





용도에 따른 구분 : 엔트리, 미들레인지, 하이엔드 서버


이러한 구분에는 엄밀한 정의는 없으르모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구분을 소개한다.


1. 엔트리 서버(저사양)

엔트리 서버는 수백만원 정도 가격으로, 주로 웹 서버나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이용된다

보통 소켓 단위로 1~2개의 CPU를 탑재할 수 있는 서버를 가리킨다. 


2. 미들레인지 서버(중간범위)

미들레인지 서버는 수천만원 정도의 가격으로, 주로 데이터베이스 서버나 엔터프라이즈 서버에서 시용된다

대체로 소켓 단위로 4개 이상의 CPU를 탑재할 수 있는데, 하이엔트 서버에 속하지 않으면 미들레인지 서버라고 부른다. 


3. 하이엔드 서버(고급)

수억~수십억 정도의 고가 서버이다. 주로 데이터베이스 서버나 엔터프라이즈 서버에서 이용된다.

소켓 단위로 수십 개 이상의 CPU를 탑재할 수 있는 서버를 가리킨다



IA 서버


인텔이나 AMD 등 인텔 호환 CPU를 탑재하고, 일반 컴퓨터와 같은 아키텍쳐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서버이다.

기본적으로 IA 서버는 어느 업체든 아키텍쳐가 같지만 업체/기종에 따라 모양이나 기능에 약간씩 차이가 있다

따라서 IA를 선택할 때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면 좋다

      1. 데이터센터의 랙에 서버가 제대로 장착되는가?

      2. 설치할 수 있는 부품수 (설치할 수 있는 하드디스크, 메모리 등 부품의 갯수는 업체에 따라 다르다) 

      3. 장애 발생시 지원 체계

      4. 원격 제어 기능 (업체에 따라 명칭이나 기능이 다르다)

      5. 납기

엔터프라이즈 서버 


엔터프라이즈 서버는 기본적으로 모두 비싸다.

액세스가 대량으로 일어나도 견딜 수 있도록 수용량이 크고 내구성이 높은 기기들을 선정하기 때문이다.

IA 서버와는 달리 엔터프라이즈 서버는 고가라 보통은 다룰 기회가 거의 없다.


+ Recent posts